- 세상을 위한 정의
온 주변에 정의가 사라져 버렸을 때 정의를 세우기 위해 무조건 세상과
대립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 마음속 정의는 굳건히 다지되 훗날의 도모를 위해
잠시 침묵하며 기다린다면 분명 같은 뜻을 가진 동료가 나타날 것이다. 그때가
오면 힘을 모아 다시 세상에 정의를 세워야 한다.
마지막까지 지켜야 할 것은 자기 혼자만의 정의가 아닌 전체의 행목을 위한 정의여야 한다.



- 아는 것과 배우는 것
이 세상에는 책의 도움이나 교사의 가르침 없이, 태어날 때부터 지닌 재능망으로 많은 것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 이른바 천재라 불리는 사람이다.
그러나 천재가 아닐지라도 아쉬워하지 말라. 많은 것을 귀담아 듣고 그 가운데 합당한 것을
골라 따르며, 많은 것을 보고 그 가운데 좋은 것을 잘 기억해 둔다. 그리하면 천재가 아는
것과 다를 바 없다.

- 강건함과 단호함, 질박함과 겸허함
첫째, 욕망에 지지 않는 강건한 이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둘째, 올바른 일이라면 망설임 없이 행하는 단호함이 있어야 한다.
셋째, 거짓이나 꾸밈없는 자기 본래의 모습으로 자리해 있어야 한다.
넷째, 자랑을 늘어놓으며 돋보이길 원하는 자만심이 없어야 한다.
이것이 정의로운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이다.
네 가지 조건 중에서 하나라도 온전히 익히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 삶도 아직 모르는데 죽음은 어찌 알 것인가
인생의 의미는 그리 쉽게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살아 있는 한 수많은 가능성이 끊임없이 펼쳐지는 것이 인생이다.
그렇게에 살아 있는 동안 '자신의 죽음'을 생각할 여유 따위는 없는 것이다.


- 실수를 통해서도 감명을 준다.
군자는 실수를 해도 감추려고 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군자의 과실은 눈에 잘 띈다.
마치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면 누구나 그것을 알아채고 하늘의 모습에 놀라는 것과 같다.
또한 군자는 잘못을 당당하게 만회한다. 그리고 주위 사람들은 그 떳떳함과 성실함에
감탄한다.
이처럼 군자는 실패를 통해서도 많은 사람들에게 감명을 준다.

- 누구나 범하는 실수
옳은 말을 들어도 쉽게 행동으로 옮기지 못한다.
틀렸음을 깨달아도 잘 고치지 못한다.
이 두가지는 누구나 범하는 실수다. 그렇기에 우리는 늘 몸 가짐과 언사를 살펴
이 같은 실수를 하지는 않는지 주의하고 또 경계해야 한다.

반응형

'아는 것이 힘 > 男兒須讀 五車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07 인생은 선물이다. 조정민  (0) 2019.07.23
고난은 선물이다(19.06)  (0) 2019.07.08
재판으로본 세계사  (0) 2019.07.08
꿀잼 경제학(19. 6월)  (0) 2019.07.08
어른들을 우한 탈무드  (0) 2019.06.05


o 역사로 보는 재판
조선시대에 신하들이 덕을 잃은 왕을 폐위하고 왕가의 다른 사람을 왕으로 세우는 것을 반정이라고 한다.
반정은 세습 왕조가 교체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역성혁명과 다르고
신하들이 주도해 무력을 행사한다는 점에서 정난과 다르다.
이성계가 고려의 공양왕으로부터 왕위를 물려 받은 것은 천명을 새롭게 하는 역성혁명이고
이방원이 주도해 형제들을 죽이고, 수양대군이 주대호 조카를 몰아낸 것은 반정이 아니라 왕자의 난이고 계유정난이다.
조선시대 반정으로는 연산군을 몰아내고 중종을 내세운 중종반정과
광해군을 쫓아내고 인조를 내세운 인조반정이 있다.



o 로마 시대 구분
기원전 753년 건국/왕정
기원전 509년 공화정
기원전 27년 제정 시작
- 서로마 476까지 제정
- 동로마 1453까지 제정

반응형

'아는 것이 힘 > 男兒須讀 五車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난은 선물이다(19.06)  (0) 2019.07.08
논어의 말(19.6월)  (0) 2019.07.08
꿀잼 경제학(19. 6월)  (0) 2019.07.08
어른들을 우한 탈무드  (0) 2019.06.05
[도덕경] 33장 참 자아의 발견  (0) 2019.05.22


- 퀴즈
호수에 피어 있는 수련 잎은 성장 속도가 빨라 매일 두 배로 불어납니다.
이 수련 잎이 호수 전첼르 뒤덥는데 48일일 걸린다면,
호수 절반을 덮을 때까지는 며칠이 걸리겠습니까?
=> 24일?



- 목소리와 말투
상대방과 대화할 때는 문장의 처음부터 끝까지 명료한 목소리로
말해야 합니다. 말의 속도를 상대방에게 맞추면, 편안하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차분한 발투를 사용하는 것도 상대에게 호감을 주는 방법 입니다.



- 대화 시간에 대해
대화를 통해 인간관계가 어느 정도 구축됐다면 이제는 이야기를
어느 부분에서 끊어야할지 고민해야 합니다. 가장 좋은 마무리 방법은
대화가 한창 무르익었을 때 중단하는 것입니다. 분위기가 고조된 상황에서
자리를 마무리하면 상대방은 '좀 더 이야기하고 싶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결국 당신은 상대방에게 더 좋은 모습으로 기억됩니다.

반응형

'아는 것이 힘 > 男兒須讀 五車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의 말(19.6월)  (0) 2019.07.08
재판으로본 세계사  (0) 2019.07.08
어른들을 우한 탈무드  (0) 2019.06.05
[도덕경] 33장 참 자아의 발견  (0) 2019.05.22
2019.05.01 성공력  (0) 2019.05.03

실패는 성공만큼 인생의 한 부분이다.
Failure is as much a part of in my life as success.

그는 스미스만큼 좋은 변호사이다.
He is as good a lawyer as Mr. smith.

그는 너 만큼 자는 것 같다.
He is as likely to sleep as you.

나는 사장님 보다 두배 더 열심히 일한다.
I work twice as hard as my boss


나는 팔짱 낀 채로 잠들었다.
I slept with my arms folded.


It is not so mich a puppy as a dog.

I find it better to accept the job.

I take it for granted that he got promoted.

반응형

‘19년 여수여행에서 실패하지 않았던 맛집 탐방

어딜가나 한정식 같은 밥상이 둘이 2만원 대라 놀랬고
그 중 하나인 화양식당애서 장어탕 두개 시켰더니
아래처럼 아이 밥까지 따로 챙겨주는 인정에 감동!


22년 여수 화양식당 다시 가서 장어구이와 장어탕 먹었는데 역시 맛과 친절함에 여수 올때마다 갈 곳으로 낙첨

조일식당 선어회는 삼치의 부드러운 식감에 양까지 좋아서 다시 가 볼 곳으로 메모.

순이네밥상은 1.5만원 갈치조림으로 간장게장에 생선구이까지 맛볼 수 있는 푸짐한 상차림으로 대기가 어마어마함

(순이네밥상)



.......................지인 추천........................
ㅇ 침향한정식
ㅇ 여수꽃게살비빔밥
ㅇ 여문숯불장어
ㅇ 여수학동 소우
ㅇ 순심원
ㅇ 칠공주(장어탕)
ㅇ 경도회관(갯장어 샤브샤브)
ㅇ 길손식당(서대회)
ㅇ 로타리식당(백반)

....................인터넷 현지인 추천..............
ㅇ 맛나게장
ㅇ 이화식당(돌게장)
ㅇ 진미꽃게탕
ㅇ 등가게장.청장게장.여진식당(게장)
ㅇ 화양식당(장어탕)
ㅇ 백반천국.화물식당.진복식당
ㅇ 함남면옥.가나식당

반응형


돈과 섹스는 없으면 그것만 생각한다.

허니문은 한 달 가지만 트러블은 평생 간다.

성공도 실패도 모두 버릇이다.

반응형


o 20세기 4대 연설
- 마틴 루서 킹 워싱턴 DC 링컨 추모관 연설 - 나에겐 꿈이 있습니다.
- 프랭클린 루스벨트 취임 연설
- 윈스턴 처칠의 '나치 침략에 대한 전쟁 독려사
- 존F 케네디의 취임연설

반응형

'아는 것이 힘 >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글  (0) 2020.09.15
나비효과 발견  (0) 2019.12.18
얀 다비드존 데 헤임 (Jan Davidsz. de Heem)의 정물화  (0) 2019.05.11
[공자, 스토리]이정당정  (0) 2017.02.23
[독일 우화]인간수명과 동물  (0) 2016.11.02
반응형

​자기를 아는 것이 밝음
- 참 자아의 발견

남을 아는 것이 지혜라면
자기를 아는 것을 밝음입니다.
남을 이김이 힘있음이라면
자기를 이김은 정말 강함입니다.

족하기를 아는 것이 부함입니다.
강행하는 것이 뜻있음입니다.
제자리를 잃지 않음이 영원입니다.
죽으나 멸망하지 않는 것이 수를 누리는 것입니다.


To know others is intelligence:
To know yourself is true enlightment.
To master others is power:
To master yourself is true strength.

To be contented is wealth;
To act with vigor is willfulness:
Not losing your place is endurance;
To die and yet not perish is longvity.

반응형

네덜란드의 정물화가' 얀 다비드존 데 헤임 (Jan Davidsz. de Heem)의 정물화​

반응형

'아는 것이 힘 >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글  (0) 2020.09.15
나비효과 발견  (0) 2019.12.18
20세기 4대 연설  (0) 2019.06.04
[공자, 스토리]이정당정  (0) 2017.02.23
[독일 우화]인간수명과 동물  (0) 2016.11.02

라즈베리파이 모션인식센터 연결과 동작 성공

간단하게 모션인식센서 입력 받아서 라즈베리파이에서 받아서 출력하기

 

모션인식센서는 아래와 같다.

​​​




센서 출력은 3개로 VCC, OUT, GND 이며

이를 순서대로 라즈베리파이의 GPIO에 2번, 6번, 26번(GPIO7)에 연결한다.

LED, Switch가 있으나 핀연결은 위와 같다.



다음 파이썬코드로 모션인식센서의 출력 확인한다.

[Python Code # 라인표시]
# 1 #coding: utf-8
# 2
# 3 import RPi.GPIO as GPIO
# 4 import time
# 5
# 6 GPIO.setmode(GPIO.BCM)
# 7 PIR=7
# 8
# 9 GPIO.setup(PIR, GPIO.IN)
# 10
# 11 try:
# 12
# 13 while 1:
# 14 if GPIO.input(PIR):
# 15 print("Motion Dectected")
# 16 else:
# 17 print("No Motion")
# 18 time.sleep(0.5)
# 19 except KeyboardInterrupt:
# 20 pass
# 21
# 22 GPIO.cleanup()

최종 결과! 너무 자주 감지되는 것 같아 잘못 했나 싶었지만 좀 느리고 넓은 영역에서 인지되는 것 같다!

반응형

'아는 것이 힘 > IT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G(Application Layer Gateway)  (0) 2019.07.24
[Docker] 컨테이너, 가상화  (0) 2019.07.22
[라즈베리파이] LED 불켜기  (0) 2019.05.02
Python 문자열 포매팅  (0) 2019.02.20
183/PRACK 절차  (0) 2019.01.25

기억하고 싶은 글귀


[토스 창업자]
저는 반드시 성공할 거라는 자신감이 있었어요. 어차피 될 때가지 도전할 거라 문제는 성공하느냐 안 하느냐가 아니라 언제, 어떻게 성공하느냐였어요. 그러니 실패할 수 가 없는 거죠. 개인적으로 KFC창업자 커넬 할랜드 샌더스를 좋아하는데 이분은 KFC를 창업한 나이가 68살이에요.


[마켓비 창업자]
누군가는 사업을 위험한 선택이라고 하잖아요. 바다에서 바도를 타면 넘어지는 일이 많으니깐, 하지만 저는 위기라는 건 없다고 생각해요. 위기로 보면 위기지만 다르게 보면 기회거든요. 지금 이 문제를 해결하면 다시 같은 문제로 어려움을 겪지 않을 거고 그러면 회사는 그만큼 더 성장하는 거죠. 마치 파도를 읽으면 그만큼 더 파도를 즐길 수 있는 것처럼요.
2018년 들어 마켓비를 인수하고 싶다는 제안을 여러번 받았어요. 그러면서 내가 왜 사업을 하는가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어요. 제가 지금 사업을 하는 이유는 처음 창업했을 때처럼 단지 많은 돈을 벌기 위해서만은 아니에요.
내가 하는 일 안에서 내가 존재하는 이유를 발견하고, 일을 하면서 끊임없이 설렘을 얻기 때문이에요. 이런 존재의 이유나 설렘을 잃는 것이 진짜 위기라고 생각해요. 위기는 내 안에 있지 외부의 많은 것들은 해결해야 할 문제에 지나지 않아요. 그러니 위기를 두려워하지 말고 당장 바다로 뛰어들면 수영장에서 느낄 수 없는 큰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는 게 제가 얻은 사업의 기술이에요.

반응형

라즈베리파이(B2+)로 전자회로 제어 첫걸음인 LED불켜기




​회로도
- 아래와 같이 빵판에 구성해서 불이 들어오는지 본다.

# o +3.3V
# |
# ▽
# ㅡ
# |
# -------∞∞∞(1.3kΩ)------> 3번 pin 연결

먼저 GND에 연결하여 불 들어오는지 확인해본다.
[매우 중요] 아래 코드에서 3번은 물리적인 3번째 PIN이다. (GPIO 03아님)


​Python source code
# 1 #coding: utf-8
# 2
# 3 import RPi.GPIO as GPIO
# 4 import time
# 5
# 6 GPIO.setmode(GPIO.BOARD)
# 7 LED=3
# 8
# 9 GPIO.setup(LED, GPIO.OUT, initial = GPIO.LOW)
# 10
# 11 try:
# 12
# 13 while 1:
# 14
# 15 GPIO.output(LED, GPIO.HIGH)
# 16 time.sleep(0.5)
# 17 GPIO.output(LED, GPIO.LOW)
# 18 time.sleep(0.5)
# 19
# 20 except KeyboardInterrupt:
# 21 pass
# 22
# 23 GPIO.cleanup()







반응형

o시나몬(cinnamon)
:시나몬은 그리서 의학서 뿐만 아니라 구약성서와 산스크리트 무헌에도 언급된다. 시나몬은 섬나라 스리랑카 실론에서 유래디었고 놋나뭇과에 속한 상록수의 껍질에서 나온 것이다. 나무의 묘목은 엄지손가락 두께로 촘촘한 덤불로 자라는데 우기에 새순의 밑동에서 잘라 껍질을 벗겨서 말린 것이다.



시나몬은 케이크와 빵을 비롯해 다양한 디저트와 잘 어울리는데, 사과, 바나나 복숭아는 물론 초콜릿과 특히 잘 어울린다. 버터에 럼주를 살짝 넣어 익힌 바나나 애플파이에 시나몬을 뿌려보라, 인도인들은 고긱에 맛을 낼 때도 시나몬을 쓰고 모로코에서는 양과 닭 요리에 쓴다.

원래 시나몬은 실론섬 위주로 거래되다가 18세기에 인도, 자바와 잔지바르 동쪽에 위치한 인도양의 셀이셸 제도로 옮겨졌고 오늘날 영국은 미국, 스페인과 더불어 시나몬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이다.

o클로브(Clove, 정향)
: 인도네시아에 속한 하산 군도인 몰루카 제도가 원산지이다. 클로브나무는 키가 커서 꽃봉우리를 모두 따려면 사다리가 필요하다. 꽃봉오리는 밑동이 분홍색을 때고 꽃잎이 벌어지기 전에 따야 한다. 그런 다음 건주하여 색이 붉은 색이 될때 까지 말린다.
​​





클로브는 장뇌와 페퍼향이 살짝 난다. 씁쓰레하고 매콤한 과일맛이 나 먹으면서 입안이 얼얼하다. 17세게에 독일의 식물학자 지리 요제프 카멜이 밝힌 바에 따르면 클로브는 강력한 살균효과를 지니고 있어 치통에 좋다. 시나몬과 마찬가지로 크로브의 독특한 맛도 오이제놀에서 비롯된다. 클로브는 밀폐용기에 1년 동안 보관할 수 있다. 최고의 클로브는 적갈색 줄기에 그보다 색이 옅은 꽃봉오리가 달린 것이다.

클로브는 단음식과 짭짤한 음식에 모두 쓸수 있다. 하지만 맛과 향이 매우 강해 조금만 써야 한다. 돼지고기 같은 구운 고기에 잘 어울리고 황설탕을 뿌린 햄에 꽂아 먹으도 좋으며 사과, 비트, 양배추, 당근, 양파, 오렌지, 고구마 등과도 잘 어울린다. 클로브는 시나몬과 칠리, 넛메고 같은 향신료와도 잘 어울린다. 이 향신료들은 전세계적으로 대체로 짭짜름한 요리에 쓰인다. 오늘날 클로브는 마다가스카르와 잔지바르, 그리고 잔지바르 북쪽에 위치한 언덕에 많은 펨바섬에소도 재배된다.
​​
o 넷메그(육두구)와 메이스
: 넛메그(nutmeg)는 인도네시아의 반다제도가 원산지이며 키가 20미터까지 자리는 상록교목이다. 넛메그 열매는 동그랗고 작은 복숭아나 살구 모양이다. 수확할 때 흑갈색 씨를 둘러싸고 있는 과육과 그물처럼 생긴 씨껍질인 빨간 메이스(mace, 육두구피)를 벗긴다. 벗겨낸 빨간 메이스는 납작하게 펴서 몇 시간 동안 말리면 주홍색으로 변한다. 씨를 45~60일간 말리면 씨 속에 든 씨앗 알맹이가 달가닥거린다. 이 씨앗 알맹이가 바로 향신료 넛메그다. 넛메그는 갈아서 가루로 보관하거나 통째로 보관한다. 넛메그는 밀폐용기에 넣어두면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 넛메그는 메이스보다 열배 많은 양이 생산된다.
넛메그와 메이스는 페낭, 스리랑카, 수마트라, 서인도제도에서 자란다.
​​


넛메그와 메이스는 매우 다양하게 쓰이는 향신료로 많은 음식에 맛을 내는 데 사용되며 다른 향신료와도 잘 어울린다. 넛메그는 양배추와 콜리플라워 같은 채소와 과일 푸딩 같은 음색에 쓰인다. 이탈리아인을 비롯한 여러 민족이 넛메그를 시금치로 만든 음식에 넣어 먹는 것을 좋아한다. 아라비아 문화권은 어린 양과 양고기 요리에 맛을 내기 위해 넛메그오 메이스를 오랫동안 써왔다. 넛메그를 너무 많이 특히 술과함께 먹으면 매우 위험한 약을 먹은 것과 같은 반응이 일어나서 오만과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사용을 금지한다.

ㅇ 페퍼(후추)



출처: 향신료의 지구사(프레드 차라 지음)

반응형

당시에 나는 투자라는 행위가 돈을 벌기 위한 것인 줄은 알았지만 돈을 이미 벌어들인 사람들의 재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전혀 감지하지 못했다. 

[오십 대가 사십 대에게 주는 교훈]

자세를 바르게 가져라. 의주 뒤로 엉덩이를 깊게 붙이고 어깨를 곧게 펴라. 바른 자세는 노후를 편안히 한다.

여전희 실수를 두려워하지 마라. 실패는 두 가지 이득이 있다. 같은 실수를 하면 안 된다는 것과 다른 방법을 시도할 기회를 갖는 것이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라. 옛날부터 지금까지 여전히 일찍 일어나는 사람들이 규칙을 만들고 성공을 나눠 갖는다.

끊임없이 희망하라. 지금도 힘들고 앞으로도 쉽지 않더라도 지금의 당신이 영원히 이 모양은 아닐 것이라는 믿음만이 당신을 언제나 지켜준다.

젊음을 부러워하지 마라. ... 오늘 당신의 모습이 당신이 가진 인생 중에 가장 젊은 날이다.

자녀에게 너무 연연하지 마라. 

다른 사람에게는 거짓말을 할지라도 최소한 자신에게는 거짓말을 하지 마라. 운동할 시간이 어디 있어?...

착한 사람이 돼라. 말을 너무 많이 하지 말고, 비열한 행동을 당장 그만 두고, 자리를 양보하고, 이성을 존중하고, 음식 앞에서 투덜대지 마라. 그리고 아무 때나 화를 내지 마라. 사십 이후에도 버리지 못한 나븐 버릇은 죽을 때까지 가지고 간다.

 

회사에서 일하는 법 중... "자신ㅁ나 알고 있고 자신만 할 수 있는 일을 가지면 항상 그 일만 하거나 도태될 것이다."

세상은 6시를 두 번 만나는 사람이 지배한다. 하루에는 두 번의 6시가 있다. 아침 6시와 저녁 6시다. 해가 오를 때 일어나지 않는 사람들은 하루가 해 아래 지배에 들어갈 때 장엄한 기운을 결코 배울 수 없다. 

사장 일을 하다 보면 점점 공부해야 될 것이 늘어난다. 회계학, 금융학, 경제학, 인문 교양, 법률, 환율, 노사/노무, 부동산, 심리학 등 끝이 없다. 

 

자신의 생각을 바꾸는 것을 부끄러워할 필요가 없다. 정말 부끄러운 일은 자신의 생각을 바꿀 용기를 갖지 못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정중한 요청들은 거절을 받아들일 준비를 하고 있으며, 욕심이 섞인 부탁들은 들어줘도 비웃거나 심지어 뒤로 돌아서서 욕을 한다. 거절에도 연습이 필요하다. 막상 해보면 별것 아니다. 오히려 적절한 거절은 당신의 가치를 높인다. 

 

나는 5시면 일어나서 간단한 식사를 하고 6시 전에 회사에 출근한다. 밤새 들어온 이메일을 확인해서 답변이나 지시를 내린다. 반드시 들러야 할 사이트 몇 군데를 들른다. 주로 뉴스와 경제지표, 요즘 유행하는 유머, 트렌드 관련, 박람회 관련 정보를 확인한다. 7시 30분이면 대부분 끝이 난다. 

이렇게 회사 내에서 있는 듯 없는 듯한 사람으로 남아 회사를 운영하려면 두 가지를 포기해야 가능하다. 그것은 바로 참견과 특권의식이다. 

 

.. 현명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 남의 말을 끝가지 듣는 재주를 가졌고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인격을 존중하는 법을 알며, 어떤 사상이나 가르침에도 치우치지 않고 스스로 생각하는 방법을 갖춘 인물이다. 

 

세상에는 공짜가 없다. 공짜는 가장 비싼 것을 가져가기 위한 숨겨진 대가일 뿐이다. 그러니 원하는 것이 있다면 무엇을 포기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순서다. 

 

말이 많으면 실수를 하기 마련이고, 말이 많으면 자랑하기 마련이다. 들어주고 묻는 것만으로도 힘 안 들이고 상대의 존중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왜 자꾸 잊는지 모르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