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는 춘추시대였다. 어느 날 조양자(趙襄子, ?-B.C.425)가 공자(孔子)를 만났다. 조양자가 공자에게 말하기를,

“선생은 경의를 표하며 70여 제후를 만났으나 선생의 도(道)는 먹혀들지 않았소. 이 세상에는 현명한 임금이 없다는 것을 어찌 모르시오? 선생의 도에 뜻을 둔 이들이 있으나 그 도가 통하지 않소?” 공자가 아무 대답을 하지 않는다. 어느 날 조양자가 공자의 제자인 자로(子路, B.C.542~B.C.480)를 만나 말하기를 “일찍이 나는 그대 스승에게 도를 물었는데 그대의 스승께서 대답을 하지 않았소. 알면서 대답을 하지 않는 것은 세상을 피해 숨어사는 것인데, 숨어 살면서 어찌 어짊(仁)을 행하겠소. 만일 정말 알지 못한다면 어찌 성인(聖人)이 될 수 있소.”

자로가 대답하여 말하기를,

“천하의 큰 종을 걸어놓고 작은 막대기로 치면 어찌 소리를 낼 수 있겠는가!” 建天下之鳴鍾,而撞之以挺,豈能發其聲乎哉(건천하지명종, 이당지이정, 기능발기성호재)!

한나라 때 유향(劉向, B.C.77~B.C.6)이 쓴 『설원(說苑)』 권11 「선설(善說)」에 나오는 대목이다. 공자가 주유천하(周遊天下)를 할 때 조양자라는 진(晉)나라라는 일개 제후국의 영수(領袖)가 공자를 비웃는 대목이다. 역시 공자의 제자답게 자로라는 사람이 한 방에 조양자라는 사람을 넉아웃(knockout)시키고 있다. 자로가 말한 대목은 식견이 짧고 얕은 너희들이 어찌 공자의 깊은 치국(治國)의 도를 알겠느냐는 것이다. 참새가 봉황의 뜻을 어찌 알겠는가? 한마디로 입 다물고 네 할 일이나 하라는 말인데 듣는 이가 가슴이 움찔하였을 것이다. 아니 아예 제후국 임금들에게는 뼛성을 부린 입찬말로 들렸을 것이다. 큰 종을 걸어놓고 작은 막대기로 쳐 봐야 댕댕댕, 거리는 소리만 들릴 것이다. 소리는커녕 잡음만 들릴 것이다. 큰 종에 맞는 타종기구가 있어야 종은 웅숭깊은 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출처: http://www.cjwn.com/sub_read.html?uid=16048

반응형

'아는 것이 힘 >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글  (0) 2020.09.15
나비효과 발견  (0) 2019.12.18
20세기 4대 연설  (0) 2019.06.04
얀 다비드존 데 헤임 (Jan Davidsz. de Heem)의 정물화  (0) 2019.05.11
[독일 우화]인간수명과 동물  (0) 2016.11.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