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가 오니 바람이 불어 등왕각*으로 보내어 주었건만, 운이 따르지 않으니 ‘천복비’**에도 벼락이 떨어진다.

(원문) 時來風送騰王閣, 運退雷轟薦福碑.

* 등왕각(滕王閣)은 지금 강서성 남창현에 있는 누각인데, 당나라 고조의 아들인 이원영이 홍주도독으로 있을 때에 세웠다. 그가 등왕에 봉해졌으므로, 등왕각이라고 부른다.
당나라 천재시인이었던 왕발(王勃)이 아직 어릴 때, 어느 날 동정호 부근에 머물고 있는데 한 늙은이가 그의 꿈속에 나타났다. 등왕각에서 9월 9일에 낙성 잔치가 있으니, 그 자자리에 참석하여 <등왕각서>라는 글을 지으라는 말을 해주는 것이었다. 그날은 9월 7일이었는데, 등왕각이 있는 남창현까지는 칠백리나 되었다. 하룻밤 사이에 가기에는 도저히 불가능한 길이었다. 그러나 왕발은 꿈이 너무나 생생하였기 때문에, 배에 올랐다. 그때부터 순풍이 불어와, 배는 나는 듯이 달려 다음날로 등왕각에 이르렀다. 그래서 오늘날까지 명문장으로 불리는 <등왕각서>를 지었다. 그야말로 때를 만나, 자기의 글솜씨를 펴보는 행운을 만났던 것이다.

** ‘천복비(薦福碑)’는 강서성 천복사에 있던 비석이다. 원나라 때에 마치원이 세웠다고도 하며, 당나라 때에 명필이었던 구양순(歐陽詢)이 비문을 썼다고도 한다.
송나라에 한 가난한 서생이 살고 있었는데, 구양순의 글씨로 이름난 천복산의 천복비를 탁본하기로 하였다. 탁본을 해올 수만 있다면
한 부에 몇 백 냥씩은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당시 재상이었던 범중엄의 도움으로 노잣돈을 얻어 가지고, 천복산으로 달렸다. 그러나 몇 천리 길을 달려 그가 마침내 천복산에 도착한 바로 그날 밤에 천둥과 번개가 몰아치더니, 공교롭게도 그 벼락이 천복비에 떨어져 비석이 산산조각으로 부서지고 말았다. 그래서 가난한 이 서생의 고생은 물거품이 되었다.

명심보감 중

반응형

+ Recent posts